티스토리 뷰


장석주 시인의 시인의 시 읽기 <너무 일찍 철들어버린 청춘에게>를 다 읽은 아쉬움에 서둘러 <<누구나 가슴에 벼랑 하나쯤 품고 산다>>를 펼쳤다. 장석주 시인은 <너무 일찍 철들어버린 청춘에게>에서 시를 읽는 것과 읽지 않는 것을 가르는 차이는 모자를 쓰는 것과 쓰지 않는 것 정도로 사소한 것일뿐이지만, 분명한 것은 시를 읽지 않는 삶보다 시를 읽는 삶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견줘 감정이 화사해지고, 감수성과 취향의 세계가 풍성해지기에 결과적으로 삶이 윤택해진다고 말한바 있다. 난 이 시리즈를 통해 행간을 읽는 법을 배우고, 감수성을 더욱 풍성하게 기르고 싶었고 <너무 일찍 철들어버린 청춘에게>를 통해 조금이나마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너무 일찍 철들어버린 청춘에게>가 사랑과 이별, 청춘의 시를 담아냈다면 <<누구나 가슴에 벼랑 하나쯤 품고 산다>>는 삶과 죽음, 인생의 시 30편을 수록하고 있어 전작에 비해 더 많은 공감과 위로를 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기대감이 더욱 컸다. 어른 아들만 시를 읽을 필요는 없다. 매 순간 자기가 죽는다는 사실을 잊은 채 번잡스러운 소음 속에서 피로와 권태에 젖어 사는 사람에게도 시는 존재의 약동을 위해서나 정신의 유연함을 키우는 데 필요하다. 시인은 사형문자와 같은 경험의 낱낱을 해독하고, 보지 못하는 것들을 보고, 생각할 수 없는 것들을 생각한다. 시는 식물의 싹, 감각의 착종 속에서 흘러나오는 미지의 전조, 초감각을 통한 세계의 계시다. 시가 솟구쳐 오르는 무수한 삶의 기미들을 품은 눌변의 말들, 한 줄의 언어, 가까스로 빚어진 이미지들이라면, 시는 세계를 지우면서 세계를 새롭게 창조한다. (본문 5p) 이 책에서는 1장 더 이상 칠 것이 없어도 결코 치고 싶지 않은 생의 바닥, 2장 시간은 사람을 먹어 작아지게 한다, 3장 무사하구나 다행이야 응, 바다가 잠잠해서 로 구성하여 각 장마다 10편씩의 시를 수록하고 있는데, 이 책의 저자이자 시인인 장석주의 시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다. 시를 읽어본지 오래된 탓인지 낯선 시를 읽고 행간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꽤 어려운 일이었다. 장석주 시인의 해설이 아니었다면 이 책에 수록된 불과 30편 밖에 되지 않은 시들을 끝까지 읽을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물론 장석주 시인의 해설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또 다른 누군가는 다른 해석을 하고, 행간의 또 다른 의미를 찾아낼 수도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나처럼 시 읽기가 어려운 이들에게 장석주 시인의 해설은 시를 향해가는 하나의 길을 안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시를 읽고 싶지만 어떤 시를 읽으면 좋을지 모르는 이들에게도 장석주 시인이 특별히 선택한 30편의 시 또한특별한 선택이 될 수 있다. 그 시인만의 매력, 시인이 시를 통해 전하려는 의도 등을 담아낸 저자의 해설은 또 다른 시인과 만날 수 있는 최적의 장소가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저자는 시인이란 본질에서 약자의 편 (<너무 일찍 철들어버린 청춘에게>18p)이라고 표현했다. 그러기에 시는 독자에게 진정한 위로를 줄 수 있는 것은 아닐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자이기에 상처받고 절망하고 또 아파하기 때문이다. 짧지만 그 속에 담겨진 행간에 이러한자신의 삶을 대입시켜본다면, 더욱 공감하게 되고 또 위로받고 치유받을 수 있으리라. 이것이 바로 시 의 힘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고기를 찢고 열매를 부수던 힘이 아무리 짓이기도 짓이겨도 다 짓이겨지지 않고 조금도 찢어지거나 부서지지도 않은 껌 (김기택의 껌 中) 씹는 대로 그 저작의 힘을 고스란히 받아들이는 껌 은 순교자다. 이 소수자들 은 숫자가 적은 게 아니라 척도에서 비켜난 자들이다. 가난한 나라의 이주 노동자들, 강제 수용소의 유대인들, 굶주리고 학대받는 아이들, 계속되는 노동과 수고로 인해 피로에 절은 도시 생활자들, 납세와 병역의 의무 아래에서 헐떡거리는 우리는 소수자들이다. 우리는 씹히면서 동시에 껌 을 씹는 이빨들, 즉 피해자이자 가해자들이다. 하지만 씹히거나 씹힘을 당하지만 용케도 부서지거나 찢어지지 않는다. (본문 65,66p) 우리는 떠났다 우리의 황금 위에 이제 먼지가 쌓여 갈 것이고 부유하는 먼지를 오래도록 쳐다보다 잠이 들고 잠이 들었다가 깨어나 창밖을 내다볼 것이다 (이근화의 목요일마다 신선한 달걀이 배달되고 中) 떠나온 곳은 황금 위에 먼지가 쌓여가는 곳이고, 찾아가는 곳은 황금의 먼지들이 부유하는 곳이다. 시의 화자는 두 장소를 견주며 후자를 더 사랑한다고 말한다. 먼지가 내려앉은 황금은 유동성이 없고 고착성이 강한 장소와 관련되는 은유다. 되풀이와 변화 없음은 곧 지루함과 권태를 불러온다. 황금빛 나는 먼지가 있는 곳은 순수한 현존의 자리, 즉 유동성이 풍부하고 변전으로 꿈틀대는 멋진 장소를 가리키는 은유다. 늘 새롭고 변화가 많은 곳은 존재 자체를 생생하게 만든다. (본문 243p) 시를 잘 모르지만 그럼에도읽는 동안조금이나마생각해 보았던시인의의도와 저자의 해설이 닮아있을 때, 혹은 너무도 달랐을 때 마저도시를 읽는 즐거움은 별반 달라지지 않는다. 다를 때는 다른 이의 생각을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닮았을 때는 더욱 공감하고 위로받을 수 있음에 마음이 풍성해지기도 했다.그래서일까? 노벨상을 받은 바 있는 옥타비오 파스는 『활과 리라』에서 시는 앎이고 구원이며 힘이고 포기이다 라고 했는데,시를 읽다보니조금이나마 공감이 된다. 이는바로 장석주 시인의 해설이 시 에 다다를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해주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아직은 나만의 생각으로 행간을 읽기에는 역부족이다. 하지만, 장석주 시인의 시인의 시 읽기 <너무 일찍 철들어버린 청춘에게><<누구나 가슴에 벼랑 하나를 품고 산다>>를 틈틈히 읽다보면 오롯이 나만의 생각으로 시 를 읽을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을 품게 된다.그렇다면 곧 내게 시가 일용할 양식이 되어줄 날도 머지 않으리라. 시인의 시 읽기 시리즈를 통해서 시 읽는 즐거움을 처음으로 느껴볼 수 있어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시인 장석주가 고른 삶과 죽음, 인생의 시 30

시와 세상의 징검다리 역할을 자처해온 시인 장석주가 시인의 시 읽기―누구나 가슴에 벼랑 하나쯤 품고 산다 를 들고 나왔다. 평론가, 에세이스트, 소설가 등 그를 수식하는 많은 말 중에서도 시인이라는 말이 마치 호(號)처럼 그의 이름 앞에 따라 붙는 이유는 그가 시와 시인, 그리고 세상과의 소통을 위해 무단히도 노력해왔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이번 책은 2007년부터 아홉 해째 조선일보 톱클래스 에 연재해온 「장석주의 시와 시인을 찾아서」를 엮은 것으로 시인이 시를 향해 내쉬는 긴 호흡이 삶을 연명하는 호흡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증명한다. 총 90여 편의 연재물 중 삶과 죽음, 인생을 노래한 시 30편으로 묶어낸 이번 책은 어떤 철학서도 주지 못한 삶에 대한 통찰과 어떤 심리학서도 주지 못한 가슴 깊은 위로를 전해준다.



등을 곧게 펴고 시를 읽는다는 일

1장 더 이상 칠 것이 없어도 결코 치고 싶지 않은 생의 바닥
육탁(肉鐸)_배한봉 | 울음이 타는 가을 강_박재삼 | 강_황인숙 |
운동장을 가로질러간다는 것은_유홍준 | 후회에 대해 적다_허연 | 껌_김기택
별을 보며_이성선 | 공(球)_박판식 | 나무는 도끼를 삼켰다_이수명 | 수선화에게_정호승

2장 시간은 사람을 먹어 작아지게 한다
시간은 사람을 먹고 자란다_정진혁 | 나의 별서에 핀 앵두나무는_조용미 | 가을_김종길
풍장 1_황동규 | 나 떠난 후에도_문정희 | 꿈 밖이 무한_유안진 | 저무는 빛_홍영철
녹슨 도끼의 시_손택수 | 나무의 기척_김광규 | 문의마을에 가서_고은

3장 무사하구나 다행이야 응, 바다가 잠잠해서
밀물_정끝별 | 밀가루 반죽_한미영 | 영진설비 돈 갖다 주기_박철
목요일마다 신선한 달걀이 배달되고_이근화 | 어떤 하루_강기원 | 너와집 한 채_김명인
쏘가리, 호랑이_이정훈 | 밤의 그늘_이향 | 갈현동 470-1번지 세인주택 앞_이승희 | 물소리를 듣다_나희덕

책에서 이야기한 시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