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눈먼 자들의 도시

xkdlaldtksth 2023. 6. 9. 15:51

눈먼 자들의 도시라는 이 책을 주문해서 받아 처음 읽어 봤는데 독특한 이야기로 구성이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요즈음 covid-19로 인하여 전염병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져서 그런지 좀 더 실감나게 읽게 되었고 지금 유행하는 covid-19처럼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일어나는 이런 일도 일어날 수도 있겠다는 막연한 상상도 해보게 만드는 소설이었다고 생각한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주제 사라마구의 대표작 눈먼 자들의 도시 100쇄 기념 스페셜 에디션 가장 두려운 것은 오직 나만이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거장 주제 사라마구의 대표작 눈먼 자들의 도시 , 2008년에 개봉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동명 영화의 원작으로도 유명한 이 작품은 국내에서 1998년에 첫 출간되어 2019년 지금에 이르기까지 20여 년이 흐르는 동안 쇄를 거듭하여 어느덧 100쇄를 맞이하게 되었다. 눈먼 자들의 도시 100쇄 기념 스페셜 에디션은 그사이 바뀐 한글 표기법을 현재에 맞게 수정하고 일러스트 표지로 리뉴얼하여 새롭게 단장했다. 눈먼 자들의 도시 는 주제 사라마구의 이름을 널리 알려준 대표적인 작품으로, 한 도시 전체에 ‘실명’이라는 전염병이 퍼지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 소설은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확실하지 않으며,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 또한 따로 없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름이 아니라 ‘눈이 멀었다’는 사실 그 자체다. 작품 속의 인간들은 물질적 소유에 눈이 멀었을 뿐만 아니라 그 소유를 위해 자신의 인간성조차 잃어버린 장님들인 것이다. 수용소에 강제 격리되어 각자의 이익을 챙기는 눈먼 사람들, 이들에게 무차별하게 총격을 가하는 군인들의 폭력, 전염을 막기 위해 수용 조치를 내린 냉소적인 정치인, 범죄 집단을 방불케 하는 폭도들이 등장한다. 이 소설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을 잃었을 때에야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된다는 사실을 날카롭게 풍자한다. 그러나 이 소설에 현대 사회의 어두운 면만 있지는 않다. 처음으로 눈이 멀어 수용소에 갇히는 인물들은 함께 서로의 고통을 나누고, 의지하며 도와가는 진정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사라마구는 이들의 모습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본질적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눈먼 자들의 도시 … 7
작품 해설 … 465

댓글